관리 메뉴

정골라코딩

[React] 최신 JavaScript 문법 본문

React

[React] 최신 JavaScript 문법

정골라 2022. 11. 15. 03:37

  • var -> const & let

 

 

 

 

const 는 한 번 선언하면 값을 바꿀 수 없는 상수,

 

let은 선언과 변경이 자유로운 변수를 의미합니다.

 

또한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(중괄호) 내에서 중복된 이름을 가질 수 없습니다.

 

 

 

 

  • Array 메소드 (forEach)

Array.forEach 는 배열의 요소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함수를 실행하는 메서드(method) 입니다.

Array.forEach 에 실행할 콜백 함수는 현재 값, 인덱스, forEach 를 호출한 배열을 매개변수로 받습니다.

또한 함수 내에서 따로 return 할 필요가 없습니다.

  • Array 메소드 (map)

Array.map 은 배열의 요소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함수를 실행하여 새로운 배열을 반환하는 메서드 입니다.

Array.map 에 실행할 콜백 함수는 현재 값, 인덱스, map 을 호출한 배열을 매개변수로 받습니다.

함수 내에서 반드시 새로운 값을 return을 해주어야 합니다.

  • Array 메소드 (filter)

Array.filter 는 배열의 요소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함수를 실행하여 조건을 통과하는 요소를 모아 새로운 배열로 반환하는 메소드 입니다.

Array.filter에 실행할 콜백 함수는 현재 값, 인덱스, map 을 호출한 배열을 매개변수로 받습니다.

함수 내에서 false 를 return 할 경우 새로운 배열에서 제외되고 true를 return 할 경우 새로운 배열에 추가됩니다.

  • Arrow function

 

 

 

Arrow Function (화살표 함수) 은 function 표현보다 구문이 짧은 함수 표현입니다.

 

function 이라는 키워드를 생략하고 매개변수를 받은 뒤 => 를 써주는 형태입니다.

 

중괄호 ({}) 를 열어 로직을 작성할 수 있으며 return 값만 존재하는 짧은 함수의 경우 중괄호와 return 을 생략하고 바로 return 할 값을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  • Destructuring assignment (Object)

Destructuring Assignment (구조 분해 할당) 은 객체나 배열을 해체하여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표현식입니다.

 

기존에는 객체에 담긴 값을 각각 새로운 변수로 선언하기 위해 왼쪽 예시와 같이 작성하였지만 Destructuring Assignment 표현을 이용하여 더 간편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Destructuring Assignment (구조 분해 할당)은 객체나 배열을 해체하여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표현식입니다.

기존에는 배열에 담긴 값을 각각 a,b 에 담기 위해 왼쪽 예시와 같이 표현하였지만 Destructuring Assignment 표현을 이용하여 더 간편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  • Shorthand property names

Shorthand property names (단축 속성명) 을 이용해 새로운 객체 선언을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새로 선언하는 object 에 key 값과 동일한 변수명을 가진 변수를 할당할 경우 value 값을 생략해서 적을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Spread Syntax 배열

 

 

 

Spread Syntax (전개구문) 은 배열이나 객체를 전개할 때 사용합니다.

 

기본적으로 배열이나 객체에 ...을 붙여 사용합니다.

 

함수 호출 및 선언, 배열 선언, 객체 선언 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.

 

왼쪽의 예시는 Spread Syntax 를 배열에 적용한 코드입니다.

 

 

  • Spread Syntax (객체)

위의 예시는 Spread Syntax를 객체에 적용한 코드입니다.

참고로 두 객체를 합성할 때 겹치는 key 가 있을 경우 나중에 오는 값이 들어갑니다.

 

팁: 이해가 어렵다면 배열의 대괄호 ([]), 객체의 중괄호 ({}) 를 없애준다고 생각해보자.

 

  • Template Literals

Template literals (템플릿 리터럴) 은 표현식을 허용하는 문자열 리터럴입니다.

기본적으로 ``(back quote)로 감싸 문자열을 표현합니다.

문자열 내에 표현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${} (달러와 중괄호) 로 표기합니다.

  • Optional chaining

 

 

 

 

Optional chaining 연산자는 객체나 변수에 연결된 다른 속성 참조될 때 유효한 속성인 지 검사하지 않고 값을 읽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. 만약 유효한 속성이 아닐 경우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`undefined` 를 반환해줍니다.

 

배열의 경우 `array?.[index]`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이벤트처리  (0) 2022.11.16
[React] Props 와 State  (0) 2022.11.16
[React] JSX 와 컴포넌트  (0) 2022.11.15
[React] 프로젝트 생성해보기  (0) 2022.11.15
React 스터디 1주차  (0) 2022.07.12